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호르무즈 해협은 어디인가?] 세계 에너지의 목줄 쥔 요충지

by 인포굿맨K 2025. 6. 23.

중동에서 발생하는 분쟁의 뉴스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지명이 바로 '호르무즈 해협'입니다. 미국,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 강대국들의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이 좁은 해협이 세계 에너지 시장을 뒤흔들곤 합니다. 그만큼 이 지역은 단순한 해상 경로가 아닌, 국제정치와 경제가 충돌하는 전략적 공간입니다.

 

호르무즈해협-지도-썸네일이미지
AI로 생성한 호르무즈 해협 지도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만과 오만만을 잇는 좁은 수역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원유 수송 경로입니다. 이곳을 통과하지 못하면 중동 산유국들의 원유가 세계 시장으로 나갈 수 없게 되며, 그 여파는 유가 폭등과 글로벌 경기 변동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에너지의 목줄'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1. 호르무즈 해협의 지리적 위치와 크기

호르무즈 해협은 중동의 이란과 오만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길이 약 200km, 가장 좁은 지점은 불과 33km 정도입니다. 이 중 선박이 실제로 항해할 수 있는 항로는 약 10~15km에 불과해 군사적 통제가 매우 용이한 구조입니다. 바로 이 점이 이란이 이 해협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해협을 지나가는 유조선 대부분은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쿠웨이트, UAE, 카타르 등에서 생산된 원유를 인도,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로 수출하기 위한 경로를 사용합니다. 하루 평균 약 1,700만 배럴의 원유가 이곳을 통해 운반되며, 이는 전 세계 원유 해상 운송량의 약 30%에 해당합니다.

 

2. 왜 호르무즈 해협이 국제 분쟁 무대?

호르무즈 해협은 지정학적으로 매우 민감한 지역입니다. 특히 이란은 해협 북쪽에 인접해 있어 실제 군사적 행동을 통해 해협을 통제할 수 있는 물리적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란은 종종 미국이나 서방 국가에 대한 압박 카드로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언급하곤 합니다.

 

예를 들어, 2019년 이란이 영국 유조선을 억류하고, 미국의 무인 드론을 격추한 사건은 전 세계의 긴장을 고조시킨 대표적 사례입니다. 당시 원유 가격은 단기간에 급등했고, 아시아 국가들은 에너지 수급에 대한 위기감을 크게 느꼈습니다. 이처럼 호르무즈 해협은 단순한 해상 경로를 넘어, 글로벌 안보와 경제에 직결된 초민감 구역입니다.

 

3. 한국도 영향을 받는 호르무즈 해협

대한민국 역시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전체 원유 수입의 약 70% 이상이 중동 지역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이 이 해협을 경유합니다. 따라서 이곳에서 충돌이 발생하면 단순히 외신 보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 기름값, 물가, 산업 전반에 연쇄적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한국 해군도 한때 ‘청해부대’를 파견해 자국 선박 보호 임무를 수행했으며, 국제 해양안보 연합에도 참여한 바 있습니다. 호르무즈 해협이 단지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의 경제와 에너지 안보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호르무즈 해협 둘러싼 국제사회 대응

미국을 포함한 서방 국가들은 호르무즈 해협의 자유로운 항행을 보호하기 위해 해상안보 연합을 구성하고 순찰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맞서 이란은 자국의 군사력을 과시하며 해협 통제 능력을 보여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긴장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긴장이 고조되면 해상 보험료 상승, 유조선 회피 항로 증가, 물류비 급등 등 부수적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곧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파장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호르무즈 해협의 안정은 단지 중동의 문제를 넘어선 글로벌 과제입니다.

 

5. 맺음말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에너지 시장의 핵심이며, 국제 정세의 균형추 역할을 하는 전략적 요지입니다. 중동에서 작은 충돌 하나만 발생해도 이 해협의 안전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며, 곧바로 유가, 물류, 세계 경제에까지 영향을 줍니다. 그만큼 이 해협은 눈에 띄지 않는 글로벌 ‘급소’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이 해협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만큼, 단기적인 경제 대책뿐 아니라 장기적인 에너지 수급 다변화 전략도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호르무즈 해협에 대한 이해는 단순한 국제 뉴스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앞으로도 이 지역의 정세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출처:
-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 https://www.eia.gov/
- BBC News – https://www.bbc.com/news/world-middle-east-11709428
- 한국석유공사 월간 에너지 브리프